2022 데이터 사이언스/Linux 19

09. vi 에디터(2): 실행 모드

vi 에디터의 사용 환경에는 명령 모드, 입력 모드, 실행 모드가 있다. 지난 포스팅에서 vi 에디터의 명령 모드와 입력 모드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행 모드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실행 모드 사용 방법 실행 모드에서의 명령은 기본적으로 ' : ' 기호로 시작한다. 1. 줄 번호 출력, 숨기기 :set nu : 줄 번호 출력 :set nonu : 줄 번호 숨기기 2. 검색(찾기) 찾고자 하는 내용이 'Pattern'이라고 할 때, 아래 두 가지 방식의 검색이 가능하다. /Pattern : 위에서 아래로 Pattern 찾기 ?Pattern : 아래에서 위로 Pattern 찾기 * 동작 후 추가 입력 키 n : 검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다음 찾기 N : 검색 방향과 반대로 다음 찾기 예를..

08. vi 에디터(1): 명령 모드, 입력 모드

vi 에디터는 그래픽 요소가 없는 CLI 환경의 문서 편집기이다. Linux 포스팅 초반, 가상 환경을 세팅하면서 gedit 명령어로 selinux 설정을 변경해준 적이 있다. (gedit /etc/selinux/config → config 문서에 접근 후 SELINUX=disabled로 직접 수정) gedit은 GUI 환경의 기본 에디터이다. GUI 환경인 가상 컴퓨터 터미널 창에서 직접 config 문서를 수정할 때는 gedit을 활용했지만, CLI 환경에서 가상 컴퓨터를 원격 조종할 때는 vi를 사용해야 한다. (vi /etc/selinux/config) vi 에디터는 70년대에 처음 만들어져 지금까지 사용되는 굉장히 오래된 문서 편집기이다. 과거 vi 편집기가 vi 호환 문서 편집기인 vim으로 ..

07. FTP 서버 구축

FTP란 파일 전송을 위한 통신 규칙 또는 약속을 말한다. FTP(File Transfer Protocol)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장치 간 파일 전송을 위한 통신 규칙이다. 이번에는 FTP 설치 후 Windows에 있는 파일을 Linux로 넘겨주는 간단한 작업을 해볼 예정이다. FTP server는 FTP를 사용하여 파일 전송을 할 수 있는 서버를 말한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파일을 서버에 저장(업로드)하거나, 서버의 파일을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다운로드)할 수 있다. FTP 설치 및 사용을 위한 작업 FTP 파일 전송을 위해, Linux(FTP server)와 Windows(FTP client)에서 할 작업이 있다. (1) Linux 먼저 Linux에서는 아래 다섯 줄의 명령어를 차례로 ..

06. 기초 명령어(3)

more, less, nl, wc, cal, date, rdate, find, man, 시스템 종료 명령어, 시스템 재부팅 명령어 기초 명령어 마지막 포스팅이다. more 내용이 너무 많아지면 파일의 처음과 마지막을 조금씩 보는 head, tail로도 한계가 발생한다. 이에 more 명령어는 출력되는 내용이 많을 때 내용을 화면 높이에 맞춰 나눠서 출력해준다. more 명령어는 파일만 대상으로 받는다. 예를 들어 more /etc/를 실행하면 디렉토리의 정보 대신 /etc/: directory라는 안내가 뜬다. CLI 환경에는 스크롤 바가 없어 화면이 내려오면 위의 내용을 볼 수 없는데, more를 사용할 때도 줄 단위로 내려가거나 화면을 넘어가면 지나간 내용을 다시 볼 수 없다. 아래 그림은 more ..

05. 기초 명령어(2)

mv, mkdir, rmdir, rm, alias, cat, head/tail, touch 기초 명령어 두 번째 포스팅이다. mv mv(move)는 잘라내기와 붙여넣기를 한 번에 처리하는 명령어로, cp와 비교해 이해하면 좋다. cp와 달리 mv는 별도의 옵션 없이도 파일과 디렉토리 모두 이동이 가능하다. cp와 마찬가지로 원본 파일의 이름을 유지 또는 변경하면서 이동할 수 있고, 이름을 변경하면서 이동할 때는 원본을 하나만 입력해야 한다. mv 명령어의 형식도 cp 명령어의 형식과 동일하다. mv [옵션] 원본 [원본] ... [원본] 이동할 위치[변경할 이름] 먼저 mv 명령어로 파일을 이동시켜보자. cd ~itbank/a/ 명령어로 작업 위치를 /home/itbank/a로 변경한다. 현재 위치에는 ..

04. 기초 명령어(1)

pwd, cd, ls, cp Linux를 포함한 모든 CLI 환경은 명령어로 제어된다. 앞으로 세 번의 포스팅에 걸쳐 Linux의 기초 명령어를 알아보려고 한다. 명령어 형식 명령어의 기본적인 형식은 다음과 같다. 명령어 [옵션] [보조옵션] [대상] (대괄호는 IT 전반에서 생략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기호이다.) (1) 명령어만 사용 pwd clear (2) 명령어와 대상 mkdir 디렉토리 cd 디렉토리 (3) 명령어와 옵션 ls -l 대부분의 명령어가 위의 형식을 따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존재하긴 한다. 지금부터 살펴볼 기초 명령어들은 모두 기본 형식을 따른다. pwd 현재 위치를 절대 경로로 출력해주는 명령어이다. cd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를 이동/변경해주는 명령어이다. 명령어의 ..

03. 기본 디렉토리와 경로

모든 운영체제는 디렉토리들의 Tree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CLI 환경에서는 GUI 환경에서처럼 마우스를 이용해 손쉽게 파일과 폴더를 오고갈 수 없다. 따라서 Linux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트리 구조와 경로 개념을 반드시 이해해야 한다. 트리 구조와 경로를 살펴보기에 앞서 간단한 개념 몇 가지를 짚고 가려고 한다. [root@localhost ~]# 의 의미 지난 포스팅에서 로그인 후 가장 먼저 위와 같은 프롬포트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했다. [root@localhost ~]# 프롬포트 각 부분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 root : 접속한 계정의 ID localhost : 연결한 장치의 이름 ~ :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 CLI 환경에서 사용하는 폴더) # : 사용 권한 Linux의 관리자 계정인..

02. 서버 컴퓨터 원격 조종

Linux 컴퓨터는 대부분 사무실이 아닌 서버실에 위치한다. Linux 컴퓨터를 관리하기 위해 매번 서버실을 방문하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에, 서버실까지 가지 않고 평소 업무를 보는 사무실에서 서버 컴퓨터를 원격 조종하고자 한다. 오픈 소스 단말 에뮬레이터, PuTTY 원격 조종에는 PuTTY라는 에뮬레이터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에뮬레이터는 컴퓨터의 호환성을 위한 장치나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아래 설치 파일은 PuTTY 한글 패치 버전이다. 설치 파일 다운로드 후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설정 창이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장 먼저 글꼴을 변경해준다. PuTTY 설정 → 창 → 모양 → 글꼴 변경 메뉴에서 글꼴을 변경할 수 있다. 글꼴 변경 이유는 기본값인 굴림체의 경우 소문자 'l'과 대문자 'I..

01. 운영체제와 가상환경

Linux는 Linux Kernel에서 발전한, 대표적인 Unix 기반의 오픈 소스 운영체제 계열이다. Linux는 Debian 계열(Ubuntu), Red Hat 계열 등 계열과 종류가 다양하다. 즉, Linux는 특정 운영체제의 이름이 아니라, 운영체제들을 묶어주는 카테고리/계열을 의미한다. (반면, Windows는 버전만 다를 뿐 그 자체로 운영체제이다.) 앞으로 진행할 실습에서는 Red Hat 계열의 CentOS Linux를 사용한다. 본격적인 Linux 실습에 앞서 운영체제에 대해 알아보자.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는 장치를 사람이 사용하기 쉽게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이다. 예를 들어, 우리는 Windows 운영체제를 통해 컴퓨터의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스마트폰을 쉽게 ..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