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은 라이브러리가 풍부한 interpret 방식의 고급 언어이다.
Python Basics 첫 포스팅에서는 프로그래밍 언어와 Python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아주 기본적인 자료형과 함수, 연산자들을 몇 가지 살펴본다.
관련 코드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github.com/tldnjs1231/python-basics/blob/main/python-basics-01.py
GitHub - tldnjs1231/python-basics
Contribute to tldnjs1231/python-basic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Why Python?
Python은 interpret 방식을 사용하는 고급 언어이다.
프로그래밍 언어에는 고급 언어와 저급 언어가 존재하는데,
사람에게 친숙한 언어일수록 고급 언어, 반대로 컴퓨터에게 친숙한 언어일수록 저급 언어이다.
또, compile 방식의 프로그래밍 언어와 interpret 방식의 프로그래밍 언어가 존재한다.
compile 방식은 코드를 실행하기 전에 코드 전체를 기계언어로 변환한다.
이 방식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실행 시에 코드 내에서 발생한 모든 오류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interpret 방식은 코드를 줄 단위로 번역하여 실행한다.
따라서 오류 발생 이후의 작업을 실행하지 않고, 최초 발생한 하나의 오류만 확인이 가능하다.
오늘날 다양한 언어들 중 Python의 이용 비중이 높은 이유는 라이브러리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시대의 흐름에 맞게 다양한 라이브러리가 등장하므로,
새로운 언어를 학습하지 않아도 Python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숫자 자료형
정수와 실수 자료형이 존재한다.
Python에서는 소수점이 있는 경우 무조건 실수로 취급한다.
예를 들어, 4.0은 정수가 아닌 실수 자료형이다.
실수 자료형은 반올림 함수 round()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round(실수, 자릿수)로 실수를 해당 자릿수까지 반올림하여 나타낼 수 있다.
Python에서 숫자는 0으로 시작할 수 없다.
이스케이프 문자
이스케이프 문자는 문자열 안에서 문자로 나타내기 제한되는 문자들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되는 형식은 역슬래시(\) + [문자] 이다.
- \t : 탭(tab), 문자 사이에 공백 추가 (공백의 크기가 정해져 있지 않아 열을 맞출 때 사용)
- \n : 라인피드(linefeed), 줄 바꿈
- \\ : 역슬래시(backslash), 첫 번째 \는 이스케이프 문자에 사용되므로 두 개 연달아 사용
- \' : 작은따옴표(single quote)
- \" : 큰따옴표(double quote)
* 이스케이프 문자는 문자열 안에서만 의미가 있다.
print()
자료를 출력할 때 사용되는 함수이다.
print() 함수는 end='\n'이 기본값이기 때문에,
해당 함수를 여러 번 사용하게 되면 계속 줄 바꿈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속성을 이용해 출력값에 줄 바꿈을 추가할 때 'print()' 한 줄을 추가하기도 한다.
print(1, end=' ')
print(2, end=' ')
위 코드를 실행하면 숫자 1과 2가 사이에 공백을 두고 한 줄에 출력된다.
이런 식으로 end= 뒤의 값을 변경해 출력 형태를 바꿔줄 수 있다.
print() 함수로 여러 자료를 한 번에 출력할 수 있다.
print('제 나이는', 25, '입니다.')
위 코드의 실행 결과는 <제 나이는 25 입니다.> 이다.
sep=' '가 기본값이므로 자료들을 ' , '로 연결할 경우 자료들 사이에 기본으로 공백이 생긴다.
주석
Python에는 코드 실행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주석이 있다.
코드 중간중간에 코드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삽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 기호 뒤에 주석을 달 수 있고, 단축키는 ctrl + / 이다.
''' ''' 와 """ """ 는 상황에 따라 실행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주석은 아니지만,
여러 줄 문자열을 생성해주어 분석 목적의 데이터나 코드 설명을 삽입할 때 자주 사용된다.
주석은 실행 결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파일의 용량에는 영향을 미친다.
변수
x = 10 과 같이 대입 연산자 ' = '를 사용하여 오른쪽의 값과 자료형을 왼쪽 변수에 대입할 수 있다.
변수명 설정 시 주의사항이 몇 가지 있다.
- 숫자로 시작 금지 (영어 소문자로 시작 권고)
- 공백 사용 금지 (' _ ' 사용 또는 공백을 없앤 후 공백 이후를 대문자로 시작; HelloWorld)
- 예약어 사용 금지 (Python에서 특정 구문을 담당하는 키워드; True, False 등)
* 함수명(ex: print)은 변수명 사용이 가능하지만 함수를 무너뜨릴 수 있어 쓰지 않는 것이 좋다.
type()
type() 함수는 자료의 자료형을 반환한다.
단, 자료형을 반환해줄 뿐, 출력까지 해주지는 않는다.
따라서 자료형을 확인하고 싶다면 print(type(자료))의 형태가 되어야 한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자료형이 존재한다.
- 정수 : int (integer)
- 문자열 : str (string)
- 실수 : float (floating point)
- 참, 거짓 : bool (boolean)
연산자
먼저, 사칙연산 +, -, *, / 이 가능하다.
Python에서 나누기의 결과는 반드시 정수가 아닌 실수이다. (ex: 4/2 = 2.0)
사칙연산 외에 다음의 연산자는 반드시 알아두는 것이 좋다.
- a // b : a를 b로 나눈 몫
- a % b : a를 b로 나눈 나머지
- ** : 거듭제곱, **(1/2)로 루트 표현 가능
% 연산자는 활용도가 매우 높다.
- 짝수, 홀수의 성질 (%2 값이 0 또는 1)
- 배수, 약수의 성질 (A가 B의 배수라면 A%B = 0, 약수라면 B%A = 0)
- 자리 검출 (1의 자리의 검출, 10의 자리의 검출 등)
- N개의 상황 규정 (예시 참고)
ex)
A - B - C - D 순서로 돌아가면서 한 명씩 청소를 하기로 했을 때,
첫 날 A가 청소를 한다면 N번 째 당번은 누구인가? (%4)
오늘이 화요일이라면 N일 후는 무슨 요일인가? (%7)
숫자 자료형 뿐만 아니라 문자열 자료형도 연산자 활용이 가능하다.
- 문자열의 연결(+)
- 문자열의 반복(*)
'2022 데이터 사이언스 > Python Bas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반복문(2): for문 예제 (0) | 2022.06.14 |
---|---|
05. 반복문(1): for문과 list (0) | 2022.06.06 |
04. 조건문(2): if문 확장 (0) | 2022.06.05 |
03. 조건문(1): if문 (0) | 2022.06.04 |
02. 입력 함수 input() (0) | 2022.06.03 |